'제2편 물권법/제1장 물권법 서론'에 해당되는 글 1건

  1. 2017.11.04 쟁점 1. 물권적 청구권

쟁점 1. 물권적 청구권

1. 물권적 청구권의 의의

- 물권내용의 완전한 실현이 어떤 사정으로 인하여 방해받고 있거나 방해받을 염려가 있는 경우,

- 그 방해자에 대하여 방해의 제거 또는 방해의 예방을 청구할 수 있는 권리

 

2. 물권적 청구권의 종류

. 점유보호청구권(민법 제204~207)

- 반환, 방해제거, 방해예방

. 소유권에 기한 물권적청구권(민법 제 213, 214)

- 반환, 방해제거, 방해예방

- 지상권, 지역권, 전세권, 저당권에 준용한다.

. 유치권

- 점유보호 청구권만 인정

. 질권

- 규정이 없으나 입법 상 불비로 당연히 물권적청구권 인정()

 

3. 물권적 청구권의 성질

- 물권에 부종하는 특수한 청구권(채권처럼 의무자가 처음부터 특정된 것이 아니다.)

- 채권적 청구권보다 우선한다.(환취권, 별제권)

- 물권과 독립하여 존속 및 양도할 수 없다.())

 

 

4. 물권적청구권의 성립요건

. 권리자

- 침해당하고 있거나, 침해당할 염려가 있는 물권의 정당한 권리자

. 반환청구권의 상대방

- 현재 방해상태의 지배자

- 직접점유자, 간접점유자 모두에게 청구할 수 있다.

- , 점유보조자에게는 청구 할 수 없다.

. 물권내용 실현이 침해되었거나 침해할 우려가 있을 것

. 침해자의 귀책사유(고의 or 과실)不要

- cf) 불법행위는

. 침해를 정당화하는 사유가 없을 것

5. 물권적 청구권의 본질 및 비용부담의 문제

. 문제점

- 물권적청구권의 본질이 상대방의 행위를 청구할 수 있는 권리인지,

-물권자의 회복행위에 대해 상대방의 소극적인 인용을 청구하는 권리인지 여부가 문제

. 判例

- 물청의 본질은 행위청구권

- 물청은 행위청구권이고 따라서 비용은 상대방이 부담한다는 견해.

- 그러나 판례는 비용부담에 대해서는 명백히 밝힌바 없다.

 

쟁점 1. 물권적 청구권

Posted by POSTING :