쟁점 1. 상인의 종류 1. 당연상인(상법 제4조) - ‘자기명의’로 ‘상행위’를 하는 자
2. 의제상인(상법 제5조) - 상인적 설비와 상인적 방법에 의하여 정의된 상인
3. 소상인(상법 제9조)
|
쟁점 1. 상인의 종류
'제1편 상법 총칙 > 제2장 상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쟁점 2. 상인 자격의 취득과 상실 (0) | 2017.11.18 |
---|
쟁점 1. 상인의 종류 1. 당연상인(상법 제4조) - ‘자기명의’로 ‘상행위’를 하는 자
2. 의제상인(상법 제5조) - 상인적 설비와 상인적 방법에 의하여 정의된 상인
3. 소상인(상법 제9조)
|
쟁점 1. 상인의 종류
쟁점 2. 상인 자격의 취득과 상실 (0) | 2017.11.18 |
---|
쟁점 2. 상인 자격의 취득과 상실 1. 상인자격의 의의 - 상인으로서의 지위, 당해 법률관계에 상법이 적용될 것인지를 결정하는 기준을 상인자격이라고 한다.
2. 회사 - 회사는 태생적 상인이고, 법인격 있는 동안 상인자격이 있다. - 설립등기 시(취득) ~ 청산 사실상 종결 시(상실) 3. 자연인
4. 공익법인 or 일반공법인
5. 특수법인
6. 중간법인
|
쟁점 2. 상인 자격의 취득과 상실
쟁점 1. 상인의 종류 (0) | 2017.11.18 |
---|